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대리코드
- 완화치료
- major scale
- triple meter
- lead-sheet symbols
- minor
- 역정보
- 심장박동
- copilot
- time signature
- dominant chord
- beams
- tuplet
- duple meter
- relative keys
- quadruple meter
- Inversion
- 워킹 베이스
- tonic chord
- 마멘키사우루스
- tonal harmony
- chord substitution
- walking bass
- Augmented
- 전두측두엽치매
- parallel keys
- tempo
- 갈색과부거미
- clef
- figured bas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3)
트러블해이팅 마인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이 글은 Richard McElreath이 저술한 『Statistical Rethinking: A Bayesian Course with Examples in R and Stan, 2nd edition』 (2019, CRC Press) 을 정리 및 인용한 것임을 밝힙니다.[1] 이 글은 저작권법 제28조에 의거하여 인용한 저작물을 '보도·비평·교육·연구 및 이에 준하는 목적'을 위해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하였습니다. Statistical golems 1. 저자는 statistical model을 만드는 작업을 Prague에서 유태인들이 골렘을 만드는 작업에 비유하며 설명하고 있다. Statistical golems은 인과를 이해하지 못한다. 다만 association만을..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대강은 그렇다. 곡을 구성할 때 diatonic seventh chords를 이용해 major key의 곡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chords로만 단순하게 이루어진 곡을 찾기는 힘들다. 이 때 사용되는 기법들이 대리코드 (substitute chord)를 사용하는 것, 세컨더리 도미넌트 (secondary dominant)와 related ⅱm⁷을 이용해 2-5-1의 흐름을 덧대는 것이 있다. 1. C major scale의 diatonic seventh chords는 아래와 같다. 이 때 주요 3화음은 tonic인 Ⅰ, subdominant인 Ⅳ, dominant인 Ⅴ가 된다. 나머지 4개의 화음을 이 주요 3화음에 대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대리코드라고 한다. 아래와 같다. 이러한 방..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