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블해이팅 마인드

Mental defense mechanism 본문

의학

Mental defense mechanism

크래프트맨 2014. 11. 3. 17:41

사실 이 defense mechanism에 관해서는 예전부터 관심있었던 개념이었는데, 오늘 수업시간에 다룬 내용이기도 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우리는 많은 것들을 바라지만 그것들이 모두 성취될 수는 없다. 그래서 이 '욕구'와 '좌절'사이에서 conflict가 발생하고 이로부터 사람은 누구나 anxiety를 느낀다. 이러한 anxiety를, 자아(ego)가 defense mechanism을 통해 해소함으로써 평정을 회복하는 것이다(pf. Id와 Super ego 사이의 절충)


여기서 프로이트 심리학에서 본 마음의 구조에 관한 얘기를 잠깐 해야겠다. 프로이트는 마음의 구조를 세 가지 층으로 분류해서 보았다. Id, Ego, Super ego가 이것이다. 아래는 청강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Id : 생리적 욕구들, 본래 성격의 기본 바탕, 원초적인 생물학적 충동.

Ego : 인간이 의식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부분.

Super Ego : 자아를 관찰하는 부분. 인격을 조절하고 억제한다(이러한 super ego는 집안 환경이나 가치체계, 도덕 등으로부터 형성)



<참고> WIKIPEDIA

Freud proposed three structures of the psyche or personality:

  • Id: The id is the unconscious reservoir of the libido, the psychic energy that fuels instincts and psychic processes. It is a selfish, childish, pleasure-oriented part of the personality with no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 Superego: The superego contains internalised societal and parental standards of "good" and "bad", "right" and "wrong" behaviour. They include conscious appreciations of rules and regulations as well as those incorporated unconsciously.
  • Ego: The ego acts as a moderator between the pleasure sought by the id and the morals of the superego, seeking compromises to pacify both. It can be viewed as the individual's "sense of time and place".

defence mechanism is the act or technique of coping mechanisms that reduce anxiety generated by threats from unacceptable or negative impulses


즉 위의 개념으로 생각해보았을 때 내가 본래적으로 원하는 욕구(Id)가 있고 이를 어떤 형성된 틀에 의해 억제함으로써 좌절시키게 되는데(Super Ego) 이 사이에서 Ego가 중간자의 입장에서 둘의 갈등을 조율한다는 개념인 것 같다. 이에 사용되는 기전을 정리한 게 defense mechanism이란 것이다.



그렇다면 defense mechanism에는 무엇이 있을까? 하나하나 살펴보자(참고 - 교수님 수업자료)


1) Repression(억압)

 : 억압은 모든 방어기제의 기초가 되는 가장 보편적이고 일차적인 자아의 방어로서, 있었던 일을 마치 없었던 것처럼 여기는 심리태도이다. 아래 설명하는 다른 방어기제들은 억압을 도와주거나 아니면 억압이 실패했을 경우에의 보조적인 역할에 불과하다. 

억압을 통해서 자아는 위협적인 충동, 감정, 소원, 환상, 기억 등이 의식되는 것을 막아준다. 억압이 실패하면 증상이 생긴다. 죄의식, 창피, 또는 자존심의 손상과 결부된 경험들은 그것이 고통스러운 불안을 불러 일으키게 되므로 특히 억압되기 쉽다. 억압된 충돌들은 그것이 사회적으로 또는 그 개인의 의식에 용납되지 않음으로써 겉으로 나타나지 않았을 뿐 그 에너지가 없어진 것이 아니다. 만약 방어에 실패하면 신경증적 혹은 정신증적 증상이 나타난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억압의 예는 가슴 아프거나 귀찮은 것을 듣지 못했다거나 잊어버렸다는 것이다. 대개 억압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는 그 억눌린 생각들이 뛰쳐나오지 못하게 더 많은 편견이나 선입관을 갖게 된다.


* 억압과 혼동하기 쉬운 것으로는 억제(suppression)가 있는데 이는 억압처럼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 것이 아니라 잊고 싶은 기억이나 용납되지 않은 욕구나 생각을 잊으려는 의식적인 노력이다.



2) Rationalization(합리화)

 : 합리화란 그 행동 속에 숨어있는 실제원인 대신에 자아가 의식에서 용납할 수 있는 '그럴 듯한' 이유 즉 가장 경우에 맞고 합리적이며 의식에 부합하며 도덕윤리관에 어긋나지 않는 이유를 대는 방어기제를 말한다

ex) 친구의 잘못을 상관에게 보고한 것은 내가 그렇게 해야 할 의무 때문이라고 '그럴 듯한' 이유를 대지만 실제이유 즉 그의 마음속 깊이 숨어 있는 까닭은 친구를 이기려고 하는 욕망이다. 동료에 대한 적대감의 표시인 것이다. 이 밖에 이솝우화의 신포도도 좋은 예이다.


* 이것은 거짓말과는 다르다. 거짓말을 할 때 그 사람은 이유가 허구라는 것을 충분히 의식적으로 알고 있다

* 합리화가 아주 흔한 자기 보호와 체면 유지를 위한 심리기제이지만 자기 기만이 지나치고 병적으로 악화되면 망상을 형성하게도 될 것이다(이 용어는 Ernest Jones가 소개한 용어이다).

Image result for rationalization


3) Sublimation(승화)

 : 승화는 방어기제 중 가장 능률적이고 창조적인 것으로 본능의 힘, 특히 성적&공격적 에너지를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유용하게 돌려쓰는 기제를 승화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승화의 기제는 다른 기제들과 달리 이들의 욕구에 반대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도우며 id의 욕구, 충동을 억압하지 않고 오히려 그 에너지를 그대로 사회적으로 쓸모 있게 전용하는 기제이다. 그러면서도 원래의 무의식의 충동은 결코 의식되지 못하므로 사람들은 자신의 건설적인 활동이 사실은 생물적이고 이기적이고 공격적인 또는 성적인 본능에서 비롯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 

ex) 대변으로 장난치고 싶어하는 유아기의 항문기적 충동이 진흙(냄새 없는 '대변')을 조각하는 것으로 바뀌듯 성적 충동이 체육생활, 시, 음악 등으로 승화되기도 한다.


* 여기서 승화라는 뜻은 정신적 사랑(Platonic love)의 뜻으로 쓰이는 일상 용어의 승화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4) Projection(투사)

 : 투사는 자아가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드의 충동을 자기 것으로 인정하지 않고 그것을 다른 사람 때문이라고 남에게 전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받아들일 수 없는 느낌이나 욕구를 자기 자신의 것으로 의식하기에는 마음이 아프므로 주관을 객관화하고 자기 감정을 남에게 뒤집어 씌움으로써 자신은 마음 편히 눈가림하고 있게 된다. 

이 기제는 영아나 어린 아이들에게는 정상적이라고 간주할 수 있지만 성인에게는 심한 현실의 왜곡이 따르므로 결과적으로 망상증이 초래될 수 있다.

ex) 남편 이외의 남자와 성관계를 갖고 싶은 강한 충동을 가진 부인이 자신의 남편이 부정하다고 말하거나 남자는 모두 믿지 못할 것들이라고 주장하는 일이다.



5) Displacement(전위)

 : 전위는 전체가 부분에 의해 표현되거나 그 반대의 과정을 말한다. 또한 어떤 생각이나 이미지가 그것과 감정적으로 관련이 있는 다른 것으로 대치되는 것(반드시 논리적인 것은 아니다)을 말한다. 

ex) 부모나 배우자에 대한 적의는 의식하기에는 너무나 강렬하므로 그를 닯은 제 3자에게 옮겨 놓음으로써 위험한 생각이나 느낌을 억누르고 있을 수 있게 된다. 

꿈에서는 여러가지 상징과 함께 감정의 전위가 빈번하다. 일상생활에서는 무의식적인 것을 농으로 대함으로써 의식을 방어하는 것이다.




6) Identification(동일화)

 : 어린이가 어른 흉내를 내는 여러 가지 언동은 학습의 기본으로서의 동일화 현상이다. 그러나 이것이 방어기제로써 쓰일 때는 불안을 없애기 위해 불안의 원인이 되는 그 대상이나 사람과 같이 되려는 수단을 말한다. 

ex) 귀신이 무서운 아이들이 귀신탈을 쓰고 귀신이 되어버림으로써 불안을 해결한다.

즉 동일화란 충동이 용납될 수 없는 것인 경우 충동 그 자체는 부정되지만 그 충동을 갖고 있는 어떤 사람(의 일면을 느낌으로써)과 동일화함으로써 받아들이는 과정을 말한다.

ex) 강한 공격적 충동을 억압하고 있는 사람이 강력하고 공격적인 Hitler 같은 사람과 동일화하거나 또한 강한 심적 욕망이 있는 여자가 화려한 생활을 하는 여배우와 동일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대상과 동일화하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결과(증상)가 나타난다. 동일화가 자아와 초자아의 성장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건 이 때문이다.



7) Incorporation and Introjection(합일화와 함입)

 : 이것은 동일화의 원시적 형태이다.

합일화란 원하는 대상이나 인물을 상징적으로 삼켜서 자기 몸과 일체가 되게 하는 과정을 말한다. 영아에서 볼 수 있다.

함입은 합일화와 같은 의미로 쓰이며 투사의 반대말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8) Regression(퇴행)

스트레스를 받게 될 때 현재의 성장시기보다 어린 시절의 행동으로 역행 또는 후퇴하는 것을 퇴행이라고 한다.

ex) 대소변 가리기가 끝난 5살 된 아이가 동생이 태어나자 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바지를 적실 때 이를 항문기로 퇴행했다고 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5살짜리로서 해야 할 책임과 그에 따르는 걱정, 불안을 면할 수 있게 된다.

퇴행기제를 심하게 쓰면 누가 봐도 정신병 환자로 진단할 수 있다. 어른이 덥다고 발가벗고 길을 활보해 보라.




9) Turning against the self

만약 존경하는 어떤 사람(ex : 부모, 선생님)에게 어떤 공격적인 행동을 가하게 된다는 것은 잊을 수 없으므로 대신 자기 스스로를 해치는 것을 말한다. 

ex) 아이가 부모한테 꾸중을 들은 후 화가 나 자기머리를 벽에 박는다. 이 때 자기머리는 자기 것이 아니고 미운 부모의 것이다.



10) Isolation(격리)

격리는 가슴 아픈 기억, 생각, 기억과 같이 오는 감정이나 느낌을 의식에서 몰아내는 과정으로서 가슴 아픈 사건이나 생각은 기억하나 그 기억에 수반된 결정은 기억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강박신경증에서 흔히 본다.



11) Reaction formation(반동 형성)

무의식의 밑바닥에 흐르는 생각, 소원, 충동이 너무나 받아들여질 수 없는 것일 때 이와는 정반대의 것을 강조함으로써 전자를 의식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이다.

ex) 적개심과 공격심을 덮기 위해 무골호인으로 행세하는 일, 또는 이와는 반대로 깊숙히 뿌리박힌 불안한 것을 없애기 위하여 공격적으로 나오는 일 등이다. 미운 전처의 아들을 극진히 사랑하는 일의 경우도 있다.




12) Substitution(대리형성)

감정의 전위와 비슷한 기제로서 전위에서보다는 좀 더 용납될 수 있는 형태로 대리형성하는 것이다.

ex) 살인의 충동이 조그만 공격적 행동으로 대신되거나 다른 건설적 행위로 그 충동이 배설되는 것.



13) Restitution(상환)

잃어버린(이별 혹은 사별로 인해) 대상을 다른 대상으로 대치하는 것인데 대리형성의 특수한 형태이다.

ex) 사랑하는 부인과 사별한 남편이 그 부인에게서 얻었던 무의식적 및 의식적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여인이 나타날 때까지 불행하게 지내는 것.



14) Resistance(저항)

자아가 관여하기에는 너무나 괴롭고 불안한 일이 더 이상 드러나지 않도록 피하는 것.

ex) 정신치료 중 환자가 오랫동안 말을 하지 않고 있는 것. 이 경우 환자 입장에서는 방어이나 치료자 입장에서는 저항이다.



15) Symbolization(상징화)

어떤 특징을 가진 중립적인 대상(neutral object)이 금지된 어떤 면을 가진 다른 대상을 대신하는 과정을 말한다. 정신과 환자의 여러 증상은 그것이 가진 뜻이 억압된 무의식이라는 점에서 상징화라고 할 수 있다.

ex) 길게 튀어 나온 것(마천루, 뱀 등)이 무의식 속에서는 남근을 말하는 생식기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16) Symptom formation(증상 형성)

증상의 형성은 타협의 형성이라고도 불리워지는데 자아가 금지된 충동과 그것이 대항하는 자아의 반응들을 모두 만족시키려 하는 병적인 방어기제이다.



17) Conversion(전환)

심리적 갈등이 신체증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이다.

ex) 화가 나서 상관을 칠까 걱정하는 사람에게서 오른팔이 마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18) Dissociation(해리)

성격의 어느 국면이 그 사람의 지배에서 벗어나, 즉 의식에서 떨어져 나와 하나의 독립된 기능을 하는 경우를 해리라고 한다.

ex) Dr. Jekyll과 Mr. Hyde 와 같은 이중인격.




19) Compensation(대상)

몸의 어느 한 곳에 장애가 있는 경우(ex : 심장판막증) 이것을 대상하기 위한 신체변화(ex : 심근비대)가 일어나듯이, 자신의 이미지(성격, 지능, 외모 등) 상의 부족한 점을 메우기 위해 자신의 강점이라고 생각하는 면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을 대상이라고 한다.

ex) 키가 작은 사람이 작은 체구가 암시하지 못하는 힘과 권위를 되찾기 위해서 공격적인 언동을 하고 덤벼드는 성격이 되는 것.



20) Denial(부정)

부정은 의식적으로 참을 수 없는 생각이나 욕구 또는 현실의 존재가 무의식적으로 부정되는 과정이다. 

ex) 암에 걸린 환자가 자신의 병이 죽을 병이 아니라고 부정하고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



* 타 사이트를 검색해 보니 이보다 더 많은 defense mechanism을 수록해놓은 사이트들도 있는데 일단 교재 기준으로 정리해보았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연구의 Design에 관한 모든 것  (0) 2019.03.26
연구실 안전보건교육 내용 핵심 요약!  (0) 2019.03.20
Comments